2025.11.18 (화)

  • 맑음동두천 6.4℃
  • 맑음강릉 7.2℃
  • 맑음서울 5.7℃
  • 맑음대전 7.0℃
  • 맑음대구 7.7℃
  • 맑음울산 7.1℃
  • 맑음광주 7.4℃
  • 맑음부산 9.4℃
  • 구름조금고창 7.0℃
  • 흐림제주 11.0℃
  • 맑음강화 4.4℃
  • 맑음보은 5.5℃
  • 구름조금금산 6.3℃
  • 구름많음강진군 9.3℃
  • 맑음경주시 7.5℃
  • 맑음거제 8.7℃
기상청 제공
메뉴
후원하기

전북 , 노인 5명 중 1명, 일터로 돌아왔다...전국 평균의 두 배

전국 유일 ‘도비 20% 투입’…투자도 1위
전북, 전국 최고 노인일자리 참여율로 ‘고령친화 1번지’ 입증

(전북=타파인) 이상선 기자 = 전북자치도가 ‘고령친화 일자리 선도지역’으로 전국의 주목을 받고 있다.

 

단순한 소득 보전이 아닌, 어르신의 사회참여와 공동체 회복을 함께 실현하며 ‘일하는 노년, 존중받는 노년’을 만들어가고 있기 때문이다.

 

18일 전북자치도에 따르면 2026년 노인일자리 참여 인원은 8만 9,633명으로 65세 이상 노인 인구 45만 4,045명 대비 참여율 19.7%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이는 전국 평균(9.3%)의 2배 이상, 광역시를 제외한 전국 도 단위 중 1위에 해당한다.

 

즉, 전북의 노인 5명 중 1명은 현재 일자리 사업에 참여 중인 셈이다.

 

2023년 6만 8,901명 → 2024년 7만 8,473명 → 2025년 8만 6,714명으로 3년 연속 가파른 증가세를 보이며, 양적·질적 성장 모두를 이루고 있다.

 

전북의 고령화율은 26.3%로 전국 평균(20.9%)보다 높지만, 도는 이를 ‘사회적 부담’이 아닌 ‘기회의 자원’으로 바라보고 있다.

 

노년층의 경험과 지혜를 지역사회 발전의 동력으로 전환하며 ‘일하는 고령사회’의 모범 모델을 완성 중이다.

 

노인일자리 사업은 ▲공익활동형(환경정비·안전지킴이 등), ▲역량활용형(보육·복지시설 지원 등), ▲공동체사업단(소규모 매장 운영), ▲취업지원형(민간 취업 연계) 등으로 구성돼 있다.

 

이 사업들은 소득 보전을 넘어 신체·정신 건강 유지, 사회적 고립 예방, 자아실현까지 돕는 ‘복합형 사회안전망’으로 진화하고 있다.

 

전북은 광역시를 제외한 도 단위 중 유일하게 노인일자리 사업 예산의 20%를 도비로 부담한다.

 

이는 전국 평균(15%)보다 5% 포인트 높으며, 충남·전남·경북·경남(15%), 강원(10%), 경기(7.5%), 충북(5%)을 모두 앞서는 수치다.

 

2026년 총사업비는 4,242억 원, 이 중 순지방비만 2,121억 원으로 서울, 경기 다음 전국 3위 규모다.

 

인구 대비 재정 투입 효과 또한 전국 최고 수준으로 평가받는다.

 

전북은 공익활동 중심에서 벗어나 다양한 일자리 유형을 조화롭게 확장해왔다.

 

2026년 기준 유형별 참여 인원은 공익활동형 6만 2,991명, 역량활용형 2만 1,063명, 공동체사업단 4,014명, 취업지원형 1,565명이다.

 

특히 역량활용형 일자리는 2023년 8,262명 → 2026년 2만 1,063명으로 4년 새 2.5배 이상 급증했다.

 

이는 단순 노동 중심의 일자리에서 ‘사회적 기여’와 ‘전문성 발휘’ 중심으로의 전환을 상징한다.

 

전북도는 내년 3월부터 본격 시행되는 ‘통합돌봄체계’와 연계해 돌봄·생활지원 중심의 역량활용형 일자리를 지속적으로 발굴·확대할 계획이다.

 

이미 마을환경정비, 아동·노인 돌봄, 공공시설 보조, 안전점검 등 생활밀착형 일자리가 활발히 운영 중이며, 이를 통해 참여 어르신들의 삶의 질 향상과 지역 돌봄 인프라 강화를 동시에 이끌고 있다.

 

김관영 전북자치도지사는 “전북은 도와 시·군, 수행기관이 함께 어르신 일자리 확충에 한마음으로 나서고 있다"면서 "앞으로도 어르신이 존중받으며 일할 수 있는 따뜻한 고령친화 사회를 만드는 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프로필 사진
이상선 기자

“당신의 기록을 함께 써 내려가는 펜”

기록하는 언론,
사람을 중심에 놓는 언론,
타파인입니다

타파인은 사람의 삶과 현장의 온도를 있는 그대로 담아내는 기록의 언론입니다.

누군가의 이야기로 세상이 조금이라도 더 따뜻해지길 바라는 마음,
그 마음 하나로 우리는 오늘도 남원과 지리산 곳곳을 걸으며 사람들의 숨결을 글로 새기고 있습니다.

말하지 못한 진심을 대신 전하고,
잊힐 뻔한 순간을 기록으로 살려내며,
당신의 이야기가 더 멀리, 더 바르게 닿도록
“펜의 힘”을 믿고 한 글자 한 글자 써내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