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원·장수·임실·순창,
이른바 ‘남장임순’ 지역정치의 병폐는 하루아침에 만들어진 것이 아니다.
그 뿌리는
인물의 문제가 아니라
‘공천을 사유화한 정치문화’에 있다.
누가
지역을 대표할 자격이 있느냐보다,
누가
지역위원장의 신임을 얻었느냐가
더 중요한 현실
그것이 남원 정치의 비극.
지금 필요한 것은
복잡한 명분이 아니다.
“내가 하고 싶은 말은
(후보를)
민주당의
당헌·당규·당률에 따라 결정하는 것이다.”
이 말 한마디가
남원 정치가 가야 할 방향이다.
박희승 위원장은
중앙당이 정한
정청래 대표의 ‘노컷 공천’ 원칙에 따라
모든 판단을 내려야 한다.
그것이 당의 질서를 세우고,
시민의 신뢰를
회복하는 첫걸음이다.
정청래 대표는 이미 “음주운전·성범죄·강력범죄 전력자는 배제하고,
3회 이상 탈당 전력자는 공천에서
원천 배제한다”고 천명했다.
이 원칙은 단순한 규정이 아니라,
공정과 정의를 회복하기 위한
민주당의 자정선언이다.
하지만,
남원 정치의 현실은 여전히
'사유화된 공천 구조'의 그림자에서
완전히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공천은
중앙의 방침보다
지역 카르텔의
이해관계에 따라 흔들리고,
정당의 이름 뒤에서
사익을 추구하는 이들이 판을 친다.
남원시민은 지금 묻고 있다.
“또 다른 카르텔은 누구인가?”
당의 이름을 걸고
공천권을 사유화하는 이들,
조직의 논리로
경선을 조작하고 줄 세우기를 일삼는 세력,
이제는 더 이상 침묵해서는 안 된다.
남원 정치가
이렇게까지 병들게 된 이유는
권력을 시민이 아닌
일부 세력이 나눠 갖는 구조 때문이다.
시민을 위한 정치는 사라지고,
그 자리를 ‘내 사람 챙기기식’
정치가 대신했다.
정치는
사유의 자리가 아니라
책임의 자리다.
공천의 칼자루를 쥔 자들이
그 칼을 사적인 이해에 휘두른다면,
정당은 시민의 것이 아니라
소수의 사조직으로 전락한다.
공천은
권력의 잔치가 아니라
시민의 심판대다.
시민이 납득하지 못하는 공천은
그 순간부터 이미 패배한 선거다.
박희승 위원장은
중앙의 룰에 따라,
민주당의
당헌·당규·당률을 엄격히 지켜야 한다.
그것이 남원 정치의 정상화를 향한
최소한의 책임이다.
이제는
‘백적(百積)’의 고리를 끊고,
깨끗하고 투명한 공천으로
시민의 신뢰를 회복해야 한다.
정치는 결국
사람의 문제이지만,
그 사람을 세우는 제도가 병들면
희망은 사라진다.
남원 정치가 다시
시민의 품으로 돌아올 때,
남장임순의 새 시대가 열린다.
공천의 칼자루는 더 이상
개인의 것이 아니라,
시민 모두의 것이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