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당은 이번 선거에서 ‘정당의 이름’이 아니라 ‘인물’로 승부해야 한다.
측근 공천과 명분 없는 편 가르기는 지역 정치의 독이다.
지금 민주당이 내세워야 할 인물은 단순히 유명하거나 정치 경험이 많은 사람이 아니라, 지역을 지킨 참 일꾼이어야 한다.
이웃의 삶 속에서 함께 고생하고, 지역의 어려움을 몸으로 겪어온 그런 사람이 진짜 ‘인물’이다.
호시탐탐 민주당 내부를 갈라치려는 세력들이 기회를 노리는 지금, 지역민과 도민이 냉정히 심판해야 할 때다.
공천 과정이 ‘누구의 사람인가’로 결정되는 한, 지역은 발전의 기회를 잃는다.
민주당이 당 내부의 ‘측근 챙기기’를 멈추고, 지역민이 진심으로 원하는 인재를 전면에 세워야 하는 이유는 분명하다.
함량 미달의 인물을 후보자 인터뷰에서부터 걸러내는 것은 당의 기본 책임이다.
언제부터인가 사회적 물의를 일으킨 인물들이 거리낌 없이 출마하는 일이 반복되고 있다.
이는 결코 옳은 일이 아니다.
법적으로 심판을 받은 순간, 이미 공직 후보로서의 자격은 상실된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들이 경선에 참여해 민주당 후보로 낙점되는 현실은, “과연 이것이 민주당다운가?”라는 근본적 의문을 던지게 한다.
공천 과정의 도덕적 기준이 무너진 지금, 지역민이 다시 한 번 ‘정치의 양심’을 세워야 한다.
유권자가 판단해야 할 기준은 명확하다.
1. 그 후보가 실제로 지역을 위해 무엇을 해왔는가.
2. 출마에 이르기까지의 삶이 도덕적으로 흠결이 없는가.
3. 가정을 성실히 꾸려왔는가.
4. 사회적·직업적으로 의미 있는 성취를 이루었는가.
5. 지역과 국가를 위한 봉사 경력이 있는가.
또한 공직을 이용해 사적 이득을 취한 적이 없는지, 당적을 성실히 지켜왔는지도 반드시 살펴야 한다.
거짓과 기만이 횡행해도 ‘민주당’이라는 옷만 걸치면 묵인되는 시대는 이미 지역을 병들게 했다.
이제는 그런 관행을 근본적으로 바꿔야 한다.
공천은 단순한 자리 나눔이 아니다. 그것은 지역의 미래를 결정하는 일이다.
승리만을 목표로 한 ‘셀프보호형 공천’은 결국 당과 지역 모두에 부메랑이 되어 돌아올 것이다.
특히 이번 선거는 박희승 위원장 체계 아래에서 형성된 낡은 정치 관행을 깨뜨릴 절호의 기회다.
지난 지역위원장 경선 과정에서 드러난 ‘8대 8 분열 구도’는 명백한 경고 신호였다.
이 흐름이 시장·도의원 선거까지 확산된다면 지역 정치 전체가 혼란에 빠질 수 있다.
선거는 다양한 방법으로 후보를 뽑을 수 있다.
그러나 그 방법이 지역민의 신뢰를 훼손하고 당의 명분을 잃게 만든다면, 그 책임은 공천을 주도한 자에게 돌아가야 한다.
탈당과 타당 출마로 지역 이익을 저버리는 행위는 지역사회의 결속을 해친다.
이제는 원칙과 책임의 이름으로 단호히 대응해야 한다.
결국 이번 선거의 핵심은 단 하나다.
민주당이 과거의 흑역사를 끊고 인물 중심의 공천으로 거듭날 수 있을 것인가.
아니면 또다시 측근 챙기기의 안일함으로 지역의 시간을 낭비할 것인가.
지역민의 목소리는 분명하다.
“정당의 이름보다 사람의 품격으로 승부하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