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세콰이어 길로 유명한 전북순창-전남담양간 국도 24호선(순창 송정교차로 구간)이 18일부터 새롭게 확·포장 개통된다. /익산국토청전북 순창에서 전남 담양을 오갔던 메타세콰이어 구 가로수 길이 순창-담양간 국도 24호선(순창 송정교차로 구간)이 새롭게 확·포장 개통되면서 새로운 명소로 부각될 전망이다. 17일 익산지방국토관리청에 따르면 전북 순창군 순창읍(장류단지)에서 전남 담양군 담양읍에 이르는 국도24호선 순창-담양 도로확장공사를 마무리해 18일 오후부터 차량통행을 시작한다고 밝혔다. 전체 11.8㎞구간을 4차로로 확장하는 순창-담양 도로확장공사는 지난 2009년 3월 착공, 총 875억 원의 사업비가 투입됐다. 길이 240m의 대곡터널과 교량 9개소, 교차로 8개소 등의 시설물이 갖춰졌으며, 방축 및 봉서교차로가 주민 요구에 따라 입체교차로로 설치됐다. 방축 및 봉서교차로는 당초 평면교차로로 계획됐지만, 지역주민의 요구가 반영돼 변경, 국가와 지자체가 비용을 분담해 민원 해결한 우수 사례로 평가받는다. 순창읍에서 담양읍에 이르는 국도 24호선 기존 구간은 선형이 구불구불한데다 도로 폭마저 좁아 사고위험이 높았다. 또한 열악한 도로 여건에 비해 차량
▲전북 순창군과 전남 담양군이 '순담 메타서클 프로젝트' 선정 이후 연계성이 높아지고 있다. /순창군전북 순창군과 전남 담양군이 지역의 역사·문화적 인문학 자원을 연계한 ‘순담 인문학 투어’를 내달 1일과 6일, ‘역사로路‘, ‘마을로路’ 이름으로 진행한다. 이미 양 군은 2014년 11월 행정, 관광 등 업무협약 이후 다방면에서 연계협력을 추진해 왔다. 특히 2017년 국토부 공모사업으로 ‘순담 메타서클 프로젝트’ 선정 이후 연계성이 높아지고 있다. 이와 관련 ‘순담 메타서클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담양~순창간 메타세쿼이아 공동 식재를 진행하고 있다. 또한 2019년부터는 담양 죽녹원 등 3개소, 순창 강천산 등 3개소를 순환하는 시티투어버스 운영을 위해 양 군간 최종 실무협의 중에 있다. 이번 투어프로그램도 이 프로젝트의 연장선에서 진행하게 됐다. 내달 1일에 있을 '역사로路' 투어는 순창 귀래정, 객사, 홀어머니산성과 담양 향교, 죽녹원 일원을 둘러보며 문화해설사의 해설과 함께 인문학적 교양을 쌓는다. 6일에는 `마을로路’ 투어를 통해 순창 고추장민속마을과 담양 슬로시티인 삼지내 마을을 둘러보고 음식만들기와 죽물공예 등 다채로운 체험을 진행할 예정이다.
▲순창군은 2020년 완공을 목표로 추진중인 `순-담(순창-담양) 메타서클` 프로젝트가 슌항하고 있다고 밝혔다.(순창군) 2020년 완공을 목표로 추진중인 `순-담(순창-담양) 메타서클` 프로젝트가 순항라고 있다. `순-담 메타서클 프로젝트`는 전라도 1000년을 맞아 전북도와 전남도가 힘을 모아 시작하는 첫 사업이다. 도간 경계를 넘어 관광교류의 기반을 구축하는 사업이다. 2020년까지 43억여원이 투입되는 대형 프로젝트다. 이 프로젝트는 메타세쿼이아 가로수길 확장과 전북 고추장민속마을 및 전남 담양읍 학동리 인근에 투어스테이션 조성 등을 주요 골자로 하고 있다. 전남 담양군 금성리부터 순창읍 백산리까지 총 3.8km구간에 메타세쿼이아를 가로수로 식재해 담양에서 전북 순창까지 이어지는 관광로드를 만들 계획이다. 메타세쿼이아 가로수길이 완성되면 연간 700만의 관광객이 순창을 방문할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국도 24호선 확장공사가 올해 말 완공되면, 인근 대도시에서 순창으로 유입되는 관광객이 더욱 가속화 될 전망이다. 이 프로젝트에서 주목할 점은 단순히 보고 먹는 관광문화에 점차 지쳐가는 관광객의 눈길을 사로잡을 인문학 투어 프로그램 개발이다. 순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