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타파인) 김진주 기자 = 원광대학교(총장 박성태) 미래인재개발처 이윤선 교수(사진)가 대학생 진로교육의 실제 효과를 실증적으로 검증한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이 교수의 논문은 한국직업자격학회지 제14권 제3호에 ‘대학생 대상 뉴커리어 경력태도 유형화 및 진로교육 프로그램 효과 분석’이라는 제목으로 게재됐다. 이번 연구는 대학 진로교육이 학생들의 경력태도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 분석한 것으로, ‘사람 중심(person-centered) 분석’ 방식을 적용해 진로교육의 실제 효과를 통계적으로 검증했다. 전국 대학 재학생 381명을 대상으로 30시간의 진로교육 교과목 참여 전후 데이터를 비교한 결과, 교육 이후 경력설계에 소극적인 ‘정체형’ 학생의 비율은 18.9%에서 12.1%로 감소하고, 자기 주도적이며 조직 내 성장을 중시하는 ‘시민형’은 16.3%에서 22.0%로 증가했다. 특히 잠재프로파일분석(LPA, Latent Profile Analysis)을 통해 학생들의 경력태도를 △정체형 △방랑자형 △시민형의 세 가지 유형으로 구분했다. 교육 전후 ‘자기주도성’과 ‘무경계 사고방식’ 항목에서도 뚜렷한 향상을 보여 진로교육이 단기 태도 변화뿐 아니라 중
원광대학교(총장 박성태)가 익산고용복지플러스센터와 함께 지역 구직자들의 취업 성공을 위해 나섰다. 최근 고용노동부 익산지청 익산고용센터와 익산시 복지정책과 및 소상공인과, 익산여성새로일하기센터 등 유관기관 직원들은 ‘이리얼싸안고(高)’라는 학습모임을 결성하고, 기관 연계 협업을 통한 조직 활성화 및 역량강화 기반을 마련했다. 특히 원광대 학생성공처 이윤선 교수를 초청해 지난달 31일 익산고용복지플러스센터 세미나실에서 ‘챗GPT를 활용한 취업상담 요령 및 MZ세대 커리어상담 방향 모색’을 주제로 첫 번째 모임을 가졌다. 강연을 통해 이윤선 교수는 “최근 설문조사 결과를 보면 구직자가 자기소개서를 작성하는 데 큰 어려움을 겪고 있는데, 자신이 말하고자 하는 내용을 정리할 수 있다면 챗GPT를 통해 쉽게 표현할 수 있고, 나아가 희망 직무에 필요한 역량과 기업 분석도 가능하다”며 “고용센터에서도 컨설턴트 개인의 역량에 의존하기보다 AI 도구를 적극적으로 활용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또, 커리어상담에 대해서도 “평생직업의 개념을 도입해 구직자가 직장을 옮기더라도 경력을 지속해서 관리할 수 있는 방식으로 상담이 이루어져야 한다”며 “이를 위해 고용노동부가 개발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