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숙주 전북 순창군수가 7일 농림축산식품부와 정부 세종컨벤션센터에서 '농촌지역 생활권 활성화'라는 공동목표를 위해 농촌협약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을 통해 순창군은 농식품부로부터 순창군의 농촌 정주여건 개선 및 365생활권 조성을 목표로 '농촌생활권 활성화계획'에 포함된 협약 대상사업에 대한 국비 총 383억원를 지원받게 된다. 군은 지난해 6월 농촌협약 시범대상지로 선정됨에 따라 순창읍, 인계면, 적성면, 유등면, 풍산면, 금과면, 팔덕면 7개 읍·면의 순창읍생활권을 대상으로 농촌생활권 활성계획 수립 용역을 완료했다. 이번 협약은 새로운 정책 거버넌스 형태로 순창군민이 다양한 생활서비스 혜택을 누릴 수 있는 사업들로 군은 21년부터 25년까지 383억원의 11개 협약 대상사업과 424억원의 19개 협약 연계사업을 추진해 나갈 계획이다. 협약대상 세부사업으로 농촌중심지 활성화사업(순창읍), 시군역량강화사업, 기초생활거점조성사업(금과·팔덕·인계면), 기초생활거점조성 2단계사업(적성·유등·풍산면), 취약지역 생활여건 개조사업, 농업농촌 에너지자립모델 실증지원사업 등이며, 올 하반기부터 시작해 5년간 연차적으로 추진된다. 연계사업과 함께 농촌공간 활성화의 지속가능성
전북 순창군이 28일 농림축산식품부가 주관한 2022년 축산악취개선사업 공모사업에 선정됐다고 밝혔다. 군은 지난 4월 전북도의 자체평가를 거쳐 6월초 농림축산식품부 산하 축산기술원에서 서류 및 발표평가를 거쳐 최종사업자로 선정된 것. 축산악취개선사업은 축산분뇨의 발생에 대한 악취를 저감시키는 연간사업으로 시·군당 최대 30억원의 사업비에 국비 20%를 지원받는다. 한편 군은 올해 축산분뇨 부숙도 의무화 시행에 따른 농가의 어려움을 반영해 추경예산에 퇴비사 지원으로 군비 2억8600만원 예산을 편성, 관련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2018년 12월 18일 정부세종청사 농림축산식품부 기자실에서 '2019년 농식품부 업무보고'결과 브리핑하는 이개호 농림축산식품부장관./사진=농림축산식품부 국가식품클러스터지원센터를 공공기관으로 지정했지만 저조한 분양률과 배후단지 미조성 등 악재가 남아 있어 수천억원이 투입된 국책사업이 여전히 안개 속을 빠져 나오지 못하고 있다. 특히 정부가 저조한 분양률을 감추기 위해 ‘글로벌식품존’을 제외한 수치를 공표해 사업부실을 덮기 위한 ‘꼼수’라는 지적을 피하기 어렵게 됐다. 정부가 국가식품클러스터 산업단지 내 외국기업 입주예정부지로 지정한 ‘글로벌식품존’은 모두 323,000㎡(32필지)규모다. 실제로 정부는 지난 2015년 외국기업 유치를 위해 글로벌식품존 부지 가운데 116,000㎡(8필지)를 외국인투자지역으로 1차 지정한 뒤 잔여부지 207,000㎡(24필지)에 대해 추가지정을 예고했다. ‘외국인투자지역(FIZ)’은 외국기업과의 입주계약이 체결되면 해당 필지를 정부 60%, 전라북도 12%, 익산시 28%의 예산비율로 LH로부터 매입해 입주기업에 임대 하는 방식이다. 현재 입주한 외국기업을 기준으로 보면 해당 필지(23,140㎡)매입비는 약 35억8,000
국가식품클러스터 로고 / 그림=국가식품클러스터 지원센터수천억원의 혈세가 투입된 국책사업이 좌초될 위기인데도 정부가 지원은 커녕 사실상 발을 빼는 듯 한 모습을 보여 빈축을 사고 있다. 지난 3일 농림축산식품부는 ‘국가식품클러스터를 첨단 식품산업의 메카로 육성·지원 한다’고 발표하면서 ‘국가식품클러스터 지원센터 자립화방안 추진’이라는 상반된 입장을 밝혀 논란이 되고 있다. 국가식품클러스터는 현재 11.2%의 저조한 공장가동률 때문에 수천억원의 혈세가 투입된 국책사업이 자칫 좌초되는 것 아니냐는 지역민들의 자조 섞인 우려의 목소리가 높다. ‘지원센터’는 식품산업진흥법에 따른 농림축산식품부 소관의 특수법인으로 지난 2011년 출범 해 입주기업들을 지원하고, 기업지원시설관리업무 총괄 및 홍보·투자유치업무 등 사실상 국가식품클러스터 컨트럴타워 역할을 하고 있다. 그 어느 때 보다 낙후된 전북지역 경제에 대한 정부의 지원책과 더불어 국가식품클러스터가 본격적인 궤도 권 안에 진입 할 때까지는 ‘지원센터’의 역할이 절실한 상황이다. 그러나정부의‘지원센터’의 자립화방안을 추진하겠다는 입장은더 이상의 지원을 하지 않겠다는 의지로 비춰질 수 있어 논란을 자초하고 있다. 이런 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