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4.11 (목)

  • 흐림동두천 1.0℃
  • 흐림강릉 1.3℃
  • 서울 3.2℃
  • 대전 3.3℃
  • 대구 6.8℃
  • 울산 6.6℃
  • 광주 8.3℃
  • 부산 7.7℃
  • 흐림고창 6.7℃
  • 흐림제주 10.7℃
  • 흐림강화 2.2℃
  • 흐림보은 3.2℃
  • 흐림금산 4.4℃
  • 흐림강진군 8.7℃
  • 흐림경주시 6.7℃
  • 흐림거제 8.0℃
기상청 제공
메뉴

분양률 조작 의혹에 휩싸인 국가식품클러스터

농림축산식품부, 눈속임으로 분양률 뻥튀기 정황
안이한 정부, 수천억원 혈세 투입된 국책사업 발목 잡나

▲2018년 12월 18일 정부세종청사 농림축산식품부 기자실에서 '2019년 농식품부 업무보고'결과 브리핑하는 이개호 농림축산식품부장관./사진=농림축산식품부

국가식품클러스터지원센터를 공공기관으로 지정했지만 저조한 분양률과 배후단지 미조성 등 악재가 남아 있어 수천억원이 투입된 국책사업이 여전히 안개 속을 빠져 나오지 못하고 있다.

특히 정부가 저조한 분양률을 감추기 위해 ‘글로벌식품존’을 제외한 수치를 공표해 사업부실을 덮기 위한 ‘꼼수’라는 지적을 피하기 어렵게 됐다.

정부가 국가식품클러스터 산업단지 내 외국기업 입주예정부지로 지정한 ‘글로벌식품존’은 모두 323,000㎡(32필지)규모다.

실제로 정부는 지난 2015년 외국기업 유치를 위해 글로벌식품존 부지 가운데 116,000㎡(8필지)를 외국인투자지역으로 1차 지정한 뒤 잔여부지 207,000㎡(24필지)에 대해 추가지정을 예고했다.

‘외국인투자지역(FIZ)’은 외국기업과의 입주계약이 체결되면 해당 필지를 정부 60%, 전라북도 12%, 익산시 28%의 예산비율로 LH로부터 매입해 입주기업에 임대 하는 방식이다.

현재 입주한 외국기업을 기준으로 보면 해당 필지(23,140㎡)매입비는 약 35억8,000만원인데 비해 임대보증금은 매입비의 5%인 1억7,900만원, 연간임대료는 1%인 3,580만원, 임대기간은 최장 50년이다.

이런 조건은 '외국인투자촉진을 독려하기 위한 파격적'이라는 것이 업계관계자들의 반응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분양 시작한 뒤 현재까지 외국기업은 단 1곳 유치에 그쳤고, 글로벌식품존 면적 대비 분양률은 한자리수인 7%에 불과한 상태다.

때문에 외국인투자지역 추가지정은 잠정 보류된 채 표류하고 있어 글로벌식품존의 실효성에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이와 관련해 산업통상자원부 관계자는 “외투지역 지정 심의 당시 외국기업 수요 예측이 빗나간 것 같다”면서도 “외국기업 유치가 잘 안 되고 있는 점은 안타깝게 생각하지만, 여건을 갖춘 상태에서 외국기업을 유치해야하기 때문에 지금 당장 외투지역 해제나 용도변경을 검토하는 것은 적절치 않다”는 입장을 내놓았다

그러나 장기간 해당부지의 이용률이 저조하다면 분양률 제고와 산업단지 활성화를 위해 토지이용계획 변경 또는 용도변경 검토 등 적극적이고 유연한 대처가 필요해 보인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LH관계자는 “정부에서 외국인투자유치를 빌미로 글로벌식품존 부지에 대한 분양공고도 하지 못하게 막고 있다”며 불만을 제기했다.
또 “부지완공직후부터 1년이 넘는 지금까지 정부계획의 변경을 수차례 요구했지만 묵살 당했다”며 정부의 눈치를 봐야하는 답답함을 토로하기도 했다.

LH의 입장에 대해 농림축산식품부관계자는 “정부는 LH에서 분양을 못하게 막은 적이 없는데 왜 그런 답변을 했는지 이해가 안 간다, LH가 잘못 알고 있는 것이다”고 해명했다.

방치논란에 대해서는 “2014년 분양 당시부터 글로벌식품존에 대해 계속 검토 중이다”라며 미온적인 태도를 보였다.

사실상 정부 스스로 국책사업의 발목을 잡고 있다는 비판을 피할 수 없을 것으로 보인다.

답보 상태에 놓인 글로벌식품존을 존치할 명분도 없는 상태에서 마땅한 해법 마련도 없는 상태다.

▲국가식품클러스터 입주현황./그림=국가식품클러스터 지원센터
문제는 이뿐만이 아니다.

지난달 3일 농림축산식품부는 국가식품클러스터의 분양률 42.4%, 분양완료면적 49만1,000㎡라고 밝혔다.

이는 정부의 목표인 2020년까지의 분양률50% 달성에 문제없어 보이지만 글로벌식품존을 포함한 산업용지 전체분양대상면적(151만㎡)으로 보면 이야기가 달라진다.

산업단지 조성 시 의무조성비율 2%인 임대부지(5필지, 2만7,000㎡)는 차치하더라도 전체분양대상면적의 약 22%에 가까운 글벌식품존부지 면적이 분양률 산정에서 빠진 이유는 납득하기 어렵다.

앞서 ‘글로벌식품존에 대해 정부정책을 이유로 LH의 분양을 막지 않았다’는 정부관계자의 해명과 배치되는 부분이다.

업계 전문가들은 “정부가 발표한 분양률에서 글로벌식품존 부지면적이 누락된 이유가 석연치 않고 이를 뒷받침할 만한 근거도 부족해 보인다”고 입을 모으고 있다.

또 “이는 결국 사업부실을 덮기 위해 의도한 것으로 읽힐 수밖에 없을 것 같다”고 일갈하기도 했다.

글로벌식품존을 포함한 면적을 놓고 보면 분양률은 34.6%에 불과하다.

2014년 11월부터 작년 말까지 지난 4년간 연평균 분양률을 감안하면 2020년까지 51.9%로 정부의 목표치인 50% 달성이 가능해 보인다.

그러나 여기에는 또 다른 변수가 숨어있다.

현재 분양대금을 완납하지 않은 업체도 상당수지만, 이들 업체들 가운데 사업타당성 재고를 통해 입주 시기를 늦추거나 분양포기까지 이어질 수도 있는 것.

실제로 외국기업 2곳 중 1곳은 지난해 분양을 취소했다.

이에 대해 전북도청 관계자는 “외국기업 2곳을 유치했지만, 1곳(맥주제조업체)은 폐수처리기준 문제로 사업타당성이 맞지 않아 작년 1월 31일자로 분양계약을 취소했고 현재 분양대금 지불 관련 소송 중”이라고 밝힌바 있다.

지난달 3일 기준 국내식품기업 68개 유치업체 가운데 42개 업체는 입주를 보류한 상태다.

또 25개 업체는 분양대금을 완납하지 않아 실제 입주까지 이어질 수 있을지 의문이다.

프로필 사진
기자

공정한 뉴스로 소중한 제보에 보답하겠습니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