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최근 남원의 이야기는 신비의 왕국이었던 운봉 가야문화와 함께 한 단계 더 도약하려 한다,
대통령의 말에서 불붙기 시작한 가야문화에 대한 조명은 이제 수많은 자치단체와 학계 시민들의 관심을 끌고 있다.
백두대간 동쪽 운봉고원에는 철의 왕국 기문국이 있었으며, 기문국은 일본과 중국기록에서 자주 등장하기도 했다.
운봉의 가야 기문국은 1982년 88고속도로 공사 중 그 존재가 알려졌으며 운봉고원에서는 30기의 대규모 제철 유적이 발견되기도 했다.
그렇다면 우리는 가야문화를 위해 무엇을 준비해야 할까.
첫째, 꾸준한 관심과 지속적인 지원이 필요하다. 학계 전문가와 시민, 공무원과 함께하는 가야 문화연구 협의체도 좋은 예다, 이를 위해선 공무원들이 먼저 앞장서야 한다.
둘째, 가야문화 이야기를 담을 그릇이 필요하다. 2013년 두락리에서 발굴된 가야유적은 남원 이 아닌 전북대 박물관에 전시되고 있다. 남원에서 출도되는 유적을 관리하고 전시할 박물관 수준의 공간을 마련해야 한다.
풍성한 이야기는 언제나 사람들의 관심을 끈다. 운봉가야의 이야기는 남원을 더욱더 풍성한 이야기로 꾸밀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