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4.18 (목)

  • 흐림동두천 1.0℃
  • 흐림강릉 1.3℃
  • 서울 3.2℃
  • 대전 3.3℃
  • 대구 6.8℃
  • 울산 6.6℃
  • 광주 8.3℃
  • 부산 7.7℃
  • 흐림고창 6.7℃
  • 흐림제주 10.7℃
  • 흐림강화 2.2℃
  • 흐림보은 3.2℃
  • 흐림금산 4.4℃
  • 흐림강진군 8.7℃
  • 흐림경주시 6.7℃
  • 흐림거제 8.0℃
기상청 제공
메뉴

[단상]행복이 최우선인가?

인간에게 행복이 가장 중요한 요소일까?

 

아닐 수도 있겠다.

 

사람 인(人)이라는 글자처럼 사람들은 서로 돕고 사는 존재이다. 벌과 개미와 같이 집단, 조직을 이루어 산다.

 

​역할 분담으로 인한 효율로 생산력이 높아지고 개체수가 어마무시하게 증가했다.

 

인간이 다른 동물과 다르게 이렇게 번성하게 된 것은 뇌의 활용과 발달 혹은 언어라는 해석도 있지만 직접적으로 영향을 준 것은 바로 분업이다.

 

또한 분업으로 기본적인 생명유지에 대한 문제가 해결되고 여가가 생겨 다른 분야 즉, 문명이 발전했다. 더 많은 욕구를 충족하고 생존과 별로 관계 없는 놀이와 거시적 관심, 사유, 관찰 등까지 가능하게 됐다.

 

하지만 문명이 발전하고 욕구를 충족했을 때 느끼는 '행복'이라는 감정을 우선으로 둔다면 이러한 문명 발전이 행복추구에 큰 도움이 됐는지는 의문이다.

 

​인간의 본성을 감안했을때 분업은 인간에게 행복보다는 불행을 준다. 특히 분업의 극대화로 산업혁명이 일어난 후로는 생산물과의 단절로 인해 이를 자신의 행위, 즉 노동의 직접적 이유를 혼동케 했다. 또한 창의력을 사용하는 즐거움이 사라지며 인간 본성과 배치되며 회의를 불러왔다.

 

이 때문에 분업의 단점을 부각하며 분업 이전으로 돌아가는 게 행복추구에 도움이 된다는 주장도 종종 나왔다.

 

하지만 분업으로 얻는 효과는 행복 추구보다 더 강력한 본능과 일치한다. 인간 뿐만 아니라 모든 생명의 가장 강력한 본성이다. 종족 보존, 그리고 번창. 생(生)하고 장(長)하려는 더 큰 우주섭리 입장에서 '행복감을 느끼는 것'은 순간적인 감정에 불과하다.

 

​인간의 행동을 '행복'으로만 해석할 수 없다. 행복과 관련 없는 행동, 불행을 감안한 강력한 행위들. 특히 집단적으로는 이런 모습이 더욱 확실하다.

 

​역할 분담은 각 개인의 행복감을 보장하지 않지만 종족을 유지하고 개체수를 증가시키는데에는 가장 좋은 방법이다. 각자 완벽하고 혼자서도 다 할 수 있지만 집단에서 역할을 나누고 특성화 시키면 그 결과는 비교가 안되게 커진다.

 

​만약 분업을 버리면 생산력이 떨어지고 생명유지 외의 여가시간이 지금보다 부족해질 경우 지금보다 행복해질까? 물질적 풍요가 적어질 경우 개체수가 말해주듯이 더 불행해지는 것 아닐까? 행복이 과연 최고 가치있는 것이며, 최우선일까?/유범수 작가(시사평론가)

 

<칼럼과 기고문은 본지의 편집방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