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원시 운봉읍(읍장 이은주) 백두대간 인근 산덕리 삼산마을에 천연기념물 제198호 따오기가 나타나 이목이 쏠리고 있다. 따오기는 과거 매우 흔한 겨울 철새였으나 환경 오염에 따른 서식지 감소 및 먹이 부족 등의 이유로 현재는 개체수가 현격히 줄어 천연기념물 및 멸종 위기 야생생물 2급으로 지정되어 있기 때문. 지난해 환경부는 지리산 정령치 습지와 운봉백두대간을 생태관광지로 선정한 바 있다. 따오기는 깨끗한 물과 풍부한 먹이가 있는 습지를 선호하는 대표적인 지표종으로 따오기의 방문은 남원백두대간의 생태적 가치 입증에 충분하다. 3일 운봉읍은 따오기의 출현을 놓고 길조(吉兆)로 풀이하고 있다. 지난 9월 남원시 운봉읍은 천혜의 자연환경과 국토 균형발전에 따라 제2중앙경찰학교 1차 후보지로 선정된 상황이다. 치안과 거주환경이 뛰어난 운봉읍에 경찰 인재 양성의 요람인 제2중앙경찰학교 유치를 위해 총력을 다하고 있는 이때 길조 따오기의 출현은 운봉읍민에게 의미가 남다를 수밖에 없다는 것. 따오기를 목격한 박순택씨는 “멸종위기 따오기가 운봉에 찾아오다니 놀랍다.” 며 “운봉읍민들이 염원하는 일들이 새해 모두 이루어 질 것 같아 기분이 좋다"고 말했다. 이은주 남원시
지리산국립공원전남사무소(소장 김은창)는 천연기념물로 지정된 화엄사 화엄매가 20일 만개했다고 밝혔다. 화엄매는 앞으로 1주 정도 유지될 것으로 예상된다.
[타파인신문 이상선 기자] 지리산 속 이야기 중 봄을 알리는 산신제가 남원 지리산에서 열린다. '지리산 천년송 당산 산신제'는 오는 19일 오전 11시 구름도 누워 갈 정도로 높고 험한 곳이라는 뜻이 담긴 남원시 산내면 와운(臥雲)마을에서 개최된다. 천년 산신제는 임진왜란 전부터 역사가 스민 마을의 당산목인 할배소나무와 할매소나무(천연기념물 424호)에 모여 매년 음력 1월10일 천년송에서 지내오고 있다. 올해 행사는 지리산천년송 문화보존회와 와운마을회 주관으로 진행되며, 산내농악단의 터울림 공연을 시작으로 제례의식이 행해진다. 이어 가족 소원빌기 행사로 소지(燒紙: 흰 한지를 태워서 정화하고 기원하는 의식)가 진행될 예정이다. 김정철 지리산천년송 문화보존회 회장은 “지리산 천년송은 지리산의 대자연속에서 자연과 인간이 더불어 살아가는 곳에 위치해 있어 지친 현대인들의 힐링장소로 제격”이라며 “천연기념물인 천년송의 보호·관리를 위해 마을주민들과 함께 지속적인 관심을 기울이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