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남원시가 남원읍성 북문의 원형 복원을 오는 2025년까지 추진한다고 18일 밝혔다.
광복 70년을 맞아 일제강점기 당시, 일제에 의해 의도적으로 훼손된 문화재인 남원읍성 북문의 원형 복원은 '역사의식 고취'라는 큰 의미가 담겼다.
이번에 복원되는 남원읍성 북문복원은 일제강점기 훼손된 문화재에 대한 복원으로 2025년까지 10년간 총 93억원(국비65억 시비28억) 투입될 예정이다.
남원시와 문화재청은 이를 위해 명확한 고증을 바탕으로 단계적이고 체계적인 복원을 추진 중이며, 먼저 토지매입, 발굴 등 복원을 위한 준비사항을 시행하고, 일제강점기 훼손된 부위·구간에 대한 본격적인 복원을 추진할 예정이다.
남원읍성은 1995년부터 2011년까지 5차에 걸쳐 시·발굴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2011년에는 남원읍성 종합정비계획을 수립해 체계적인 원형복원을 준비해 왔다.
앞으로 2016년도에는 해자와 양마장정비, 2017~18년 발굴조사와 토지매입을 추진하고 2019~2025년까지 북문과 북벽 성 복원에 93억원이 지원될 계획이다.
남원읍성 북문(사적 제298호)은 정유재란 당시 1만여 의사가 순절한 장소로 일제강정기 1935년 철도개설을 핑계로 만인의총이 있던 북문과 서문을 의도적으로 철거하는 만행을 저질렀다.
남원시 관계자에 따르면 "일제강점기에 의도적으로 훼손된 문화재에 대한 복원이 우리의 민족적 자긍심을 바로잡는 계기가 될 수 있다"면서 "후손들에게 살아 숨 쉬는 역사교육의 장으로도 활용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한편 이번에 복원을 시행하는 곳은 남원읍성을 비롯해 안동 임청각(보물 제182호), 강릉 대도호부 관아(사적 제388호) 전국 3곳으로 일제강점기에 대부분 철거 또는 훼손된 문화재를 2025년까지 복원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