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운봉 허브특구 3만7,665㎡에 공장부지 조성
○ 허브산업의 구심점 역할 기대하며 투자유치
○ 7개 업체 공장 입주
![]() |
허브가공단지는 운봉 용산리 허브특구지역에 위치한다.
남원시가 2004년 허브밸리 전담팀을 구성하고 허브산업 육성에 적극 나서면서 핵심사업으로 진행됐다. “투자유치 할 땐 다해줄 것처럼 하더니…”
당시 시는 운봉 용산리 바래봉 자락 20만6,000여평에 지리산 자생식물공원과 허브밸리 등을 조성하는 ‘지리산 웰빙산업특구’ 사업을 남원시발전의 최대 정책사업으로 추진했다.
2005년 9월 지리산 바래봉 일대 허브단지가 재정경제부로부터 산업특구로 지정받자 시는 규제특례 완화와 행정서비스 편리 등을 내세워 다양한 허브산업육성정책을 펼쳤다.
시는 또 그동안 개최해온 허브산업엑스포와 신활력사업, 지역특성화사업 등을 한데 묶어 허브밸리에 이를 집중화 시키고 그 성장기반으로 허브가공단지를 기획했다.
허브가공단지는 남원시가 투자기업을 유치, 토지를 매입토록 하고 도로 등 공공용지는 기부채납 하는 방식으로 조성됐는데 시는 8억5,000만원 들여 도로, 전기, 상하수도 등의 기반공사를 진행했다.
그리고 2013년 사업비 56억원이 투입돼 허브특구 내 3만7,665㎡ 부지에 건평 3,823㎡ 규모의 가공공장이 건축됐다. 허브가공단지 보조금 사업장인데도 방치…지도감독 부실
당시 가공단지에는 허브밸리, 둥근힘 등 7개 업체가 입주해 90여가지의 허브완제품을 생산할 계획이었다.
공장도 기존의 공장형태를 벗어나 허브 및 주변 환경과 어우러지도록 외관을 디자인했다. 불법건축물 논란 왜?
시는 이때만 해도 가공공장이 준공되면 지역에서 재배하는 허브의 안정적 판로 확보와 고용창출 효과 등으로 농가소득 향상과 자역경제 활성화에 크게 도움을 받을 것으로 전망했다.
하지만 현재에 와서는 대부분의 업체가 부침을 거듭하며 경영적인 어려움에 처해 공장단지 전체가 침체돼 있는 실정이다.
특히 이곳의 한 업체는 은행의 압류, 공매 처분 등의 문제로 보조금 취소 결정이 내려져 퇴출 위기에 놓여있기도 한 상태다. 정부 규제철폐 말로만 하지 말고